상단영역

본문영역

‘21개월 23건’ ESS 화재 원인은 제조결함과 관리부실…양적성장과 바꾼 ‘복합 인재’

  • Editor. 강한결 기자
  • 입력 2019.06.11 14: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한결 기자] 미래 신성장산업으로 평가받는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연쇄 화재에 대한 민관합동 조사의 결론은 복합적인 인재(人災)였다. ESS 화재 원인은 제조결함과 관리부실, 설치 부주의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ESS 불안감을 높였다는 것이다. 양적 성장을 따라잡지 못한 운용과 관리상의 문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5개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를 공개하고 화재 재발 방지 및 ESS 산업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7년 8월 이후 1년 9개월 동안 전국서 발생한 23건의 ESS 화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뤄졌다.

2017년 8월 2일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한국전력시험센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에서 발생한 화재. [사진=연합뉴스]

조사 결과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운용관리 부실 △설치 부주의 △통합관리체계 부족 등 4가지가 직·간접 화재 원인으로 꼽혔다.

ESS는 전력이 남을 때 비축했다가, 부족할 때 쓰거나 필요한 곳에 보내 주는 체계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해 적재적소에 적정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다.

직접적인 ESS 화재 원인으로는 미흡한 배터리 보호장치, 부실한 운용관리, 설치 부주의 등의 문제가 꼽혔다.

과전류·과전압이 배터리에 전해질 때 배터리 보호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조사위는 랙 퓨즈, 직류접촉기, 버스바 등 배터리 보호시스템이 전기충격을 차단하지 못하거나 성능이 저하된 것은 배터리 제조사의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

ESS의 운용관리 미흡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보통 ESS가 태양광이나 풍력발전 설비와 함께 바닷가나 산골짜기 등 외진 곳에 설치돼 있어 상주 관리인이 없는 탓에 온도와 습도 등을 제대로 맞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큰 일교차로 이슬이 맺히고 다량의 먼지 등에 노출돼 절연이 파괴된 결과 불꽃이 튀기는 등 화재가 발생할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조사한 ESS 화재 원인과 정부가 발표한 대책방안. [사진=연합뉴스]

또한 영세 시공업체들이 처음 ESS를 다루는 과정에서 고온다습한 곳에 배터리를 사나흘 방치하는 등 설치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한 사례가 지적됐다.

간접적인 ESS 화재 원인으로는 배터리 보관불량, ESS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설계·보호되지 못했던 점 등이 꼽혔다.

아울러 일부 제조결함도 화재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일부 배터리셀에서 제조결함이 발견됐지만 시험 실증에서 곧바로 화재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그래도 매일 배터리를 100% 충전했다가 완전 방전하는 등 무리한 조건에서 운영하면 합선으로 인한 화재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게 조사위의 설명이다.

조사위 분석 결과 23건의 ESS 화재 중 배터리 완전 충전 후 대기 상태에서 발생한 화재가 14건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충전·방전 과정에서 6건, 설치·시공 중 3건이 발생한 것으로 구분됐다. ESS 설비 운영 기간은 1년 이하가 16건으로 가장 많았고 2년 이상 4건, 1∼2년 3건이다. ESS 연쇄 화재와 관련된 업체는 배터리 제조업체인 LG화학, 삼성SDI를 비롯해 설계·시공 업체까지 30여곳으로 전해졌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정부는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을 펼쳤고, 각종 지원책에 힘입어 2017년부터 ESS 관련 사업도 급성장했다. 2013년 30개에 불과하던 사업장 수는 지난해 947개로 급증했고 배터리 용량도 30MWh에서 3632MWh로 늘어나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이같은 지원책에 힘입어 사업장수가 6년 동안 30배 이상 급증했지만 ESS 설비에 대한 운영·관리 체계는 이런 양적 성장을 따라잡지 못했고, 21개월 동안 23건의 화재사고로 이어졌다.

ESS에 대한 안전성 우려가 커지면서 산업부는 지난해 말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에 대한 가동중단을 요청했고, 지난 1월에는 민간사업장에도 별도의 전용 건물이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원칙적으로 가동을 중단해달라고 권고했다. 가동중단 권고를 자발적으로 수용한 업체에는 가동중단 기간 발생한 손해를 어느 정도 보전할 방안을 마련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의 화재 사태는 양적 성장에 치우쳤던 한국 ESS 산업을 되돌아보게 된 계기가 됐다"며 "ESS 산업이 화재 사태로 위축된 성장 활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단기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가정용·전기차 충전소용 ESS 등 신규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