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은 "한계기업 구조조정 이뤄져야 제조업 노동생산성 1% 이상 상승 가능"

  • Editor. 장용준 기자
  • 입력 2020.07.20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장용준 기자]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한 채 만성적으로 버티는 기업을 의미하는 '좀비기업' 한계기업 비중이 늘어나 정상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1% 이상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한계기업이 우리나라 제조업 노동생산성에 미친 영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0년 7.4%에서 2018년에는 9.5%로 2.1%포인트 증가했다. 한계기업 중에서도 특히 수익이 낮은 만성한계기업 비중은 3.9%에서 5.3%로 올랐다.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이 이뤄져야 전체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1% 넘게 상승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이 보고서는 2010∼2018년 기업활동조사 제조업 부문에 속한 기업 7만6753곳(상용근로자 50인 이상, 자본금 3억원 이상)의 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한계기업 비중과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자료다.

송상윤 한은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부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한계기업은 연달아 3년 이상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면서(이자보상배율 1 미만) 업력이 10년 이상인 기업으로 정의했다. 이 가운데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간이 3년이면 신규한계기업(한계기업 1년차), 4년 이상이면 만성한계기업(한계기업 2년차 이상)으로 나눴다.

이어 "제조업 한계기업의 증가는 수익이 낮은 만성한계기업이 2010년 3.9%에서 2018년 5.3% 증가한 것에 주로 기인했다"며 "이런 현상은 우리 제조업에서 저수익 한계기업의 적체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2016~2018년 중 한계기업의 비중이 10%를 상회하는 산업은 기타운송장비(17.6%), 의복 외 섬유제품(14.8%),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시계(13.4%),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12.9%),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10.6%) 등으로 나타났다

가파르게 증가한 한계기업의 노동생산성은 정상기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48%로 나타났다. 한계기업 가운데 만성한계기업과 저수익·고부채 한계기업의 노동생산성이 정상기업 대비 각각 47.7%, 41.3%로 낮았다.

기업규모별로는 소규모 만성한계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동일 규모의 정상기업 노동생산성의 44.2%로 낮은 편이었다. 소규모 만성한계기업의 퇴출 부진이 우리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분석 기간 중 만성한계기업의 비중이 상승하지 않았다면 정상기업의 유형자산증가율, 고용증가율은 각각 연평균 0.5%포인트, 0.42%포인트 오를 것으로 추산됐다. 또 노동생산성은 1.01%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규한계기업은 정상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송 부연구위원은 "경기 상황, 산업 업황 등에 영향을 받는 신규한계기업보다 구조조정 부진에 기인한 한계기업의 적체가 정상기업의 노동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