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부실징후기업, 유동성 지원에 53곳 감소…코로나 길어지면 신용위험 표면화 우려

  • Editor. 장용준 기자
  • 입력 2020.12.28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장용준 기자] 올해 부실 징후가 나타나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이 지난해보다 53곳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관련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이 효과를 본 것이라는 분석이다. 하지만 추후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 신용위험이 표면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 3508개 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대기업 4곳과 중소기업 153곳이 부실징후기업으로 파악됐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보다 대기업은 5곳, 중소기업은 48곳 각각 감소했다. 금감원 측은 대기업은 감소추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부실징후 중소기업 수가 줄어든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2016~2020년 부실징후기업 추이.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관련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 효과로 인한 연체율 하락, 회생신청 기업 감소 등의 추세에 따라 D등급 기업 수 및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보이며, C등급 기업 수 및 비중은 다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전체 부실징후기업 가운데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평가되는 D등급이 91곳으로 지난해보다 60곳 줄었고, 정상화 가능성이 큰 C등급은 66곳으로 7곳 늘었다.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개인 채무자에 대해 이뤄진 대출·만기연장·보증 등 금융지원 규모는 올해 2월부터 지난 4일까지 261조1000억원에 달한다.

다만 금감원 관계자는 "신용위험평가에는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인 영향이 배제됐고 3분기부터 기업실적이 회복 추세인 점도 반영된 것"이라고 추정했다.

부실징후기업.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부실징후기업. [그래프=금융감독원 제공]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향후 금융지원까지 종료되면 잠재된 신용위험이 표면화할 우려가 있다.

올해 꼽힌 부실징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금속가공 17곳 △도매·상품 중개 13곳 △부동산 13곳 △고무·플라스틱 12곳 △기계장비 12곳 △자동차 12곳 등이다.

기계장비, 전자, 부동산, 자동차 업종은 작년보다 각각 23곳, 8곳, 6곳, 5곳 감소했다. 반면 철강, 고무·플라스틱 업종은 작년보다 3곳, 2곳 증가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지난 9월말 기준 2조3000억원(대기업 7000억원·중소기업 1조6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은행권의 신용공여액이 1조8000억원(78.3%)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이 조만간 이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여신의 자산건전성을 재분류하면 약 2355억원을 대손충당금으로 추가 적립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며 "국내 은행의 손실흡수 능력 등을 고려하면 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이 9월말 16.02%에서 0.01%포인트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해서는 조기에 경영정상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부실징후기업 중 워크아웃 등을 신청하지 않는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이 사후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또한 일시적 경영위기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이 신속금융지원·프리워크아웃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