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업다운 논객마당] 뉴노멀 시대의 생존 전략

  • Editor. 업다운뉴스
  • 입력 2015.12.28 0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노멀’(New Normal)이 화두로 등장했다. 뉴노멀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등장한 ‘새로운 세계경제 질서’를 뜻한다. 말은 번듯하지만 실제로는 과거에 경험한 5%대 이상의 고도성장은 생각할 수 없는 ‘저성장 경제’를 의미한다. 성장률과 투자, 금리, 물가가 사상 최저 수준인 ‘새로운 4저(低)시대’에 진입했다. 이제부터는 물가 상승보다는 물가 하락을 더 걱정해야 할 판이다. 테러 등 지구촌의 갈등 확산과 과잉 공급에 따른 경기 침체, 양적완화를 통한 언 발에 오줌 누는 식의 문제 해결, 슈퍼 파워의 다원화, 기후변화 문제 등이 서로 얽히고설켜 구조화되면서 세계 경제가 신음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1일 세계은행에 따르면 브릭스(중국·브라질·러시아·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를 비롯한 23개 신흥국의 경제성장률은 2010년 7%대 중반에서 2014년 4%대 중반, 올해 3%대 후반으로 내리 곤두박질치면서 반토막이 났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금리가 낮아 예·적금은 별 의미가 없고 부채만 잔뜩 늘어났다. 가계부채는 1000조원을 넘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처럼 경제에 큰 부담이다. 소득은 늘지 않고 좋은 일자리도 줄어 경제 침체가 일상화됐다. 결국 빚이 주식 및 부동산 시장을 떠받치고 있는 형국이다. JP모건은 내년 성장률을 2.9%로 하향 조정했고, LG경제연구원도 2.5%로 0.2%포인트 내렸다. 현대경제연구원(2.8%), 한국경제연구원(2.6%)도 2%대 전망을 내놨다. 한국은행조차 3.0~3.2%로 낮춰 잡아 저성장의 본격화를 예고하고 있다.

1997년 외환 위기 이전처럼 임금은 해마다 오르고 상품 가격도 올라가는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은 저성장을 받아들이기가 고통스럽다. 현재의 정국이나 정치적 리더십을 보면 경제 상황을 극적으로 반전시킬 가능성이 난망한 탓에 저성장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저성장의 특징 중 하나는 상품과 서비스 가격의 하락이다. 소비자의 지갑이 얇아지고 얇아진 지갑도 제대로 열지 않기 때문이다. 가격이 하락하거나 정체하면 기업은 고용을 줄이고 비용절감을 위해 임금을 조정한다. 임금이 줄거나 일자리를 얻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경제 전반이 수요 부족에 시달린다. 수요 감소가 가시화되면 또다른 투자 축소와 임금 하락 현상이 확산돼 경제가 지속적으로 쪼그라드는 길로 들어선다. 사정이 이러니 주가와 부동산의 거품이 빠지며 일자리를 잃거나 일자리를 잡지 못하는 사람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고 기업도산이 증가하는 악순환에 빠진다. 저성장 시대에는 대다수 경제 주체들이 현상 유지나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내는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문제는 이번 저성장 흐름이 꽤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된다는데 있다. 정부가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시중에 돈을 풀어 경기부양에 나서지만 아무래도 역부족이다. 한국은 강한 달러에 치이고 엔저에 밀리며 중국의 물량 공세에 쫓기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이다. 이런 저성장 시대를 살아가려면 사회 전체가 고비용과 저효율을 벗어나기 위해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방법밖에는 별다른 묘수가 없다. 구조조정은 경기 부양을 위해 투입되는 자금의 낭비를 막아 체제 내에서 선순환이 이뤄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 한국의 지출 규모와 같은 사회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대 이상의 경제성장이 필수적이라는 게 경제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이다. 하지만 구조조정은 단기적 고통을 요구하는 만큼 실시하는데 어려움에 많다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

개인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소득의 대부분을 임금에 의존하는 가계는 정부나 기업에 비해 대책 마련이 녹록치 않다. 국내 가계 재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자산 규모가 감소할 전망이다. 이자소득으로 생활하는 은퇴 생활자들은 실질 금리가 사실상 마이너스가 되면서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때문에 저성장 시대에는 소비의 눈높이를 대폭 낮추고 부동산·주식 비중을 되도록 줄여 현금 비중을 늘리는 방법이 최선책일 것이다.

김규환 서울신문 선임기자 khkim@seoul.co.kr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