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표창원 더러운 잠, 답을 찾는 건 인류의 영원한 숙제?

  • Editor. 업다운뉴스
  • 입력 2017.01.24 15: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한 전시회를 사이에 두고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발단은 ‘더러운 잠’이란 제목의 작품 한 점이다. 수시간째 실검을 장식하며 뜨거운 감자로 자리한 표창원의 더러운 잠, 작품 속 나체로 묘사된 박근혜 대통령의 모습이 예술과 외설 경계의 모호함에 다시금 불을 붙였다.

지난해 3월 할리우드 모델 겸 배우 킴 카다시안이 자신의 SNS에 한 장의 사진을 게재했다. 사진 속에서 킴 카다시안은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채 주요 부위만을 아슬아슬하게 손으로 가린 채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파격적인 킴 카다시안의 누드 공개에 개방적인 할리우드도 뜨겁게 달아올랐다. 시작은 클로이 모레츠였다. 킴 카다시안의 누드 사진을 본 클로이 모레츠는 “젊은 여성들에게 자신의 인생 목표를 세우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는 말로 따끔한 일침을 날렸다. 보다 이상적인 인생 목표를 세워야 하는 젊은 여성들이 킴 카다시안의 벗은 몸을 보고 이를 인생의 목표로 삼게 될 것에 우려를 표했던 셈이다.

표창원이 기획한 더러운 잠 논란도 이와 묘하게 닮았다. 꽤 오래 전부터 예술과 외설은 늘 위태로운 외줄 위를 걸어왔다. 표창원이 기획한 전시회에 내걸린 작품 하나가 이 불변의 논란에 또 한 번 기름을 끼얹었다.

예술에 있어 몸은 영원불변의 소재로 자리잡아왔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인간이 몸을 인식하는 방법은 꾸준히 변화했으며 그것을 타인에게 노출하는 방법 또한 함께 변화했다. 이때 예술과 외설의 경계를 구분 짓게 되는 것이 바로 시각이다. 사람의 몸이 노출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하나의 몸이 예술이 되기도 하고 외설이 되기도 하는 까닭이다.

어쩌면 표창원의 더러운 잠을 바라보는 분분한 시각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과연 표창원의 더러운 잠은 표현의 자유 위에 그려진 풍자의 미학일까, 아니면 외설에 가까운 성추행적 만행일까.

한때 항간에 떠돈 우스갯소리에서 예술과 외설을 구분짓는 해답이 제시되기도 했다. 누군가는 하나의 작품을 보고나서 눈물이 흐르면 예술이요, 군침이 돌면 외설이라 정의했다. 감상 후 마음의 변화가 초래되면 예술이요, 몸의 변화가 감지되면 외설이란 정의도 있다. 조간 신문의 문화면을 장식하면 예술, 사회면에 등장하면 외설이라는 또 하나의 기준, 이에 비추었을 때 표창원의 더러운 잠은 전자에 속할까, 후자에 속할까.

딱히 정답이 없는 터라 표창원의 더러운 잠을 사이에 둔 분분함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거세지는 양상을 띠고 있다.

한편 표창원의 더러운 잠 논란은 에두아르 마네의 ‘올랭피아’를 패러디한 작품이 발단이 됐다. 더러운 잠이란 제목의 그림은 국회의원회관 1층 전시회에 내걸렸다. 이곳에서는 지난 20일부터 오는 30일까지 시국비판 풍자 전시회 ‘곧, 바이!(soon bye)’전이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회는 표창원이 기획했으며 ‘표현의 자유를 향한 예술가들의 풍자 연대’가 적극 참여했다.

더러운 잠이란 제목의 그림은 이구영 작가의 것이다. 작가는 ‘세월호 7시간의 미스터리’와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의 관계를 그림에 담았다며 창작 의도를 밝힌 바 있다.

실제로 그림 속에는 세월호가 침몰하고 있는 장면을 배경으로 나체의 박근혜 대통령이 그려져 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초상 사진과 ‘사드(THAAD)’라고 적힌 미사일을 손에 쥔 박근혜 대통령의 곁에는 주사기 다발을 들고 있는 최순실의 모습도 보인다.

더러운 잠을 두고 “풍자를 가장한 인격모독과 질 낮은 성희롱이 난무하고 있다”며 격분한 새누리당을 향해 표창원은 “이번 전시회에서 더러운 잠을 거는 것에 대해 나를 비롯한 어떠한 정치인도 개입하지 않았다. 작품에 대한 비판을 존중하고 다른 입장을 인정하겠다. 다만, 허위사실이나 사실왜곡에 기반한 정치공세는 반대한다”고 해명했다.

이어 표창원은 “나를 대상으로 한 조롱과 희화화, 패러디, 풍자 예술 작품에 개입하거나 관여할 의사가 없다. 얼마든지 해도 된다. 이러한 마음으로 현직 대통령이나 권력자, 정치인 등 ‘공적 인물’에 대한 비판과 풍자 등 표현의 자유를 인정해 주십사 요청 드리고 싶다”고 강조했다. 김가희 기자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