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기혼여성 고용률 결혼 뒤 급락, 원상회복에 21년"...경력단절의 깊은 골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1.07.13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기혼 여성이 결혼 당시 고용률을 회복하기까지 21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근거로 여성의 고용률 변화를 분석해 13일 내놓은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혼 여성은 결혼 당시 고용률이 68.1%였지만 결혼 1년 차에는 56.2%로 떨어졌고, 결혼 5년 차에는 최저치인 40.5%까지 하락했다. 결혼 6년 차부터 조금씩 올라갔지만 결혼 당시 고용률로 돌아가기까지는 21년 걸렸다. 

기혼 여성 고용률은 꾸준히 올라가 2009년 48.8%에서 2019년 57.6%까지 올라갔다. 미혼과 기혼 여성 간 고용률 격차는 14.0%포인트였다. 남성은 2019년 기준 기혼 남성 고용률이 92.3%였다. 미혼 남성 69.7%에 비해 높았다. 

결혼 연차에 따른 기혼 남성과 기혼 여성의 고용률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결혼 연차에 따른 기혼 남성과 기혼 여성의 고용률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미혼과 기혼 여성의 고용률 격차는 초대졸 이상 고학력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2019년 기준 고졸 이하 학력 미혼과 기혼 여성 고용률은 각각 59.9%, 56.9%였다. 격차가 3.0% 포인트였다. 하지만 초대졸 이상 미혼 여성(74.4%)과 기혼 여성(58.4%)의 고용률 격차는 15.9% 포인트였다.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해 기혼 여성의 결혼 이후 취업 유지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출산이 경제활동 참여를 가장 힘들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른 요인이 일정하다는 전제 아래 직장 근무 여성은 자녀가 1명 있으면 취업 유지율이 29.8% 포인트 떨어졌다. 자녀가 4명 있을 때 직장 여성의 취업 유지율은 38.4%포인트 떨어졌다. 

미취업 여성의 취업확률을 떨어뜨리는 핵심 원인도 출산이었다. 자녀가 1명 있으면 취업확률은 7.2%포인트 줄었다. 두 자녀와 세 자녀가 있을 때도 취업확률은 각각 17.6%포인트, 16.5%포인트 감소했다. 부모와 같이 살 경우 직장에 다니는 여성의 취업유지율이 12.6%포인트 증가했다. 

교육 수준도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직장에 다니는 초대졸 이상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취업유지율이 5.8%포인트 높았다.

2009~2019년 학력별 미혼 여성과 기혼(유배우)여성의 고용률 추이(%) [그래픽=한국경제연구원 제공]
2009~2019년 학력별 미혼 여성과 기혼(유배우)여성의 고용률 추이. [자료=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경연은 여성의 육아 부담이 경제활동 중단으로 이어지지 않게 유연근무제 도입을 늘리고, 여성의 일과 가정 양립 방안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기혼 여성의 재취업이 쉽도록 재취업 교육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를 내놓았다. 

한경연은 시간선택제나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과 같은 근로시간 유연화는 기업 입장에서 보면 경제위기 시 일자리를 유지하고 고용을 탄력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여성도 육아나 출산 등을 위해 필요 시 시간을 선택적 사용하며 근무할 수 있다. 

유진성 한경연 연구위원은 "세대 간 공동거주로 직장 여성의 육아 부담을 완화하고, 노인 빈곤율을 완화할 방안도 함께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