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1월 물가 넉달째 3%대...밀려오는 글로벌 인플레에 커지는 기조적 압박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2.02.04 1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새해 들어서도 외식비와 기름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1월 소비자물가가 넉 달째 3%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2012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3%대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10년 만에 최장기간 3%대 오름폭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물가의 장기적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10년 만에 3%대 상승률을 보여 기조적 압력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69(2020년 100기준)로 1년 전보다 3.6% 올랐다. 오름폭은 전월(3.7%)보다 0.1%포인트(p) 낮아졌다.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9년 8개월 만에 3%대(3.2%)로 올라선 뒤 11월(3.8%), 12월(3.7%)에 이어 4개월 연속 3%대 고물가 기조를 이어갔다.

1월 석유류 가격이 16.4% 상승했다. [사진=연합뉴스]
1월 석유류 가격이 16.4% 상승했다. [사진=연합뉴스]

품목 성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6.3% 뛰었다. 채소류 가격이 2.2% 오르면서 농산물 가격도 4.6% 높아졌다. 축산물은 돼지고기(10.9%), 수입 쇠고기(24.1%), 국산 쇠고기(6.9%), 계란(15.9%) 등이 올라 11.5% 상승했고, 수산물은 0.5% 올랐다.

공업제품은 4.2%의 상승률을 보였다. 석유류 가격은 16.4% 올랐는데, 휘발유(12.8%), 경유(16.5%), 자동차용 LPG(34.5%), 등유(25.7%) 등이 두 자릿 수 오름폭을 보였다.

소비자물가의 주요 공급 측 요인인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가격이 전체 물가를 1.21%p 높인 것이다.

전기·수도·가스 요금은 2.9% 상승했는데, 지난해 10월 연료비 조정 단가 인상과 상수도료 요금 현실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0.9%로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개인서비스 물가가 3.9%나 오르면서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2.9%를 기록했다. 특히 외식 물가가 5.5% 상승, 2009년 2월(5.6%) 이후 12년 11개월 만에 최대 오름폭을 보였다.

집세의 경우 전세(2.9%)와 월세(1.1%)가 동반 상승해 2.1% 상승률을 보였는데, 2015년 10~12월(2.5%) 이후 가장 큰 오름폭이다. 전세는 2017년 8월(2.9%) 이후, 월세는 2014년 5월(1.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구입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4.1% 높아졌다.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의한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0% 상승, 2012년 1월(3.1%)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생활물가와 근원물가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생활물가와 근원물가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난해 12월보다 낮지만 (1월 물가가) 여전히 높다는 것에 대해 송구하다"며 "물가 상승 원인을 보면 상당 부분이 휘발유 가격, 원유 가격을 포함한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밀려오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국내적으로 금리, 유동성 문제, 농축산물 같은 국내 품목의 가격 인상도 있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동돼 현재 물가가 기대나 예상하는 것보다 높게 인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억원 기재부 1차관도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우크라이나 사태 비상대응 TF 회의'를 주재하면서 모두발언을 통해 “1월은 연초에 제품·서비스 가격을 조정하는 경향이 있어 통상 전월비 상승률이 연중 가장 높은 달"이라며 "설 명절 수요 등 물가 상방요인이 다수 존재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수급 불안 가능성에 대해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제유가 가격 모니터링에 따라 오는 4월 말 종료 예정인 유류세 인하 연장을 검토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