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CS, 라이벌 UBS에 매각...'상업적 해법'으로 은행위기 불씨 꺼지나

  • Editor. 최민기 기자
  • 입력 2023.03.20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최민기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몰락 사태가 대서양 건너 유럽에 충격파로 밀려들어 불러온 ‘은행 위기’가 고비를 넘겼다.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빠져있던 세계 9대 투자은행(IB) 크레디트스위스(CS)가 스위스 최대 금융기관 UBS로 인수가 전격 확정되면서다. 

미국이 지방은행발 리스크가 본격 확산하기 앞서 긴급 지원에 나선 것처럼 스위스가 국유화 카드까지 내비치며 ‘문제'은행이 키울 수 있는 위기를 차단하기 위해 속도전을 나선 결과다. 일단 라이벌 뱅크의 합병을 통한 ‘IB공룡’의 탄생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데는 성과를 거둔 만큼 지구촌으로 전이 위험도 낮아지는 모습이다.

로이터통신, 파이낸셜타임스(FT),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스위스 톱 뱅크 UBS는 2위 은행 CS를 30억스위스프랑(32억달러)에 인수하기로 전격 합의했다. FT에 따르면 UBS가 처음에는 최대 10억달러를 제안하는 등 협상이 난항을 겪었지만 매각이 최종 불발될 경우 스위스 정부가 CS를 부분적으로라도 국유화하는 방안까지 검토됐다고 전해졌다.

19일(현지시간) 인수 발표 기자회견장에서 악수하려는 컴 켈러허 UBS 이사회 의장(왼쪽)과 악셀 레만 CS 이사회 의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인수 발표 기자회견장에서 악수하려는 컴 켈러허 UBS 이사회 의장(왼쪽)과 악셀 레만 CS 이사회 의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스위스 정부는 거래를 촉진하기 위해 1000억달러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등 아시아금융시장이 개장하기 전까지 해결책을 내놓겠다고 배수의 진을 친 끝에 긴급진화에 성공했다. UBS의 제안가가 20억달러 이상으로 높아지면서 접점을 찾았고, 스위스 정부와 국립은행은 기자회견을 통해 인수가액이 30억스위스프랑이라고 공식 발표한 것이다.

167년 역사의 CS는 잇따른 투자 실패로 재무구조가 악화한 사실이 SVB발 충격과 맞물려 보도되면서 급속히 파산 위기설이 돌았다. 지난 15일 CS의 최대주주(9.88%)인 사우디아라비아국립은행이 추가 자금 지원을 거부하자 시장의 불안심리가 확산했다. 스위스국립은행이 CS에 537억스위스프랑 규모의 자금을 지원키로 비상조치를 내놓으면서 진정모드에 들어섰지만 그것은 미봉책으로는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직결됐던 리먼브라더스 파산 사태와 버금가는 글로벌 충격파를 낳을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스위스 정부가 ‘시스템 위기’로 커지는 불씨 진화작업 전면에 나섰다.

스위스 정부는 CS 인수에 따른 UBS의 일부 손실을 막기 위해 90억스위스프랑을 제공하기로 했다. 미국도 막대한 세금으로 버틴 글로벌 금융위기 때 거센 비판을 감수해야 했던 학습효과로 이번 SVB 사태 관련 신속대응에도 극도로 꺼려 했듯이 ‘구제금융’이 아니라 정부와 중앙은행, 금융감독청이 지원사격에 나서 ‘상업적 해법’으로 스위스가 지구촌 금융위기의 진원지가 되는 최악을 피한 것으로 풀이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구제금융을 받았던 UBS가 당시 정부 지원을 거절했던 CS를 인수한 것은 아이러니이기도 하다.

미국은 SVB 폐쇄 이후 지난 12일 예금 전액 보호와 금융기관 대출지원 등의 신속한 비상조치를 내놓으면서 “결코 구제금융이 아니다”라고 강조한 대로 민간 차원의 SVB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매수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분할매각론이 나온 것이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SVB 파산 관재인인 미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SVB를 최소 두 사업 부문으로 쪼개 매각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날로 예정됐던 입찰 일정도 연기했다.

지난 12일 폐쇄된 시그니처은행도 인수은행 후보가 좁혀져 이번주 내에 발표될 것으로 관측됐다. 부실자산을 FDIC가 그대로 보유하는 방안도 검토되면서 새 주인 찾기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은행위기 확산 일지 [그래픽=연합뉴스]
글로벌 은행위기 확산 일지 [그래픽=연합뉴스]

SVB 붕괴가 대서양 넘어 퍼뜨린 ‘나비효과’가 유럽과 지구촌 전체로 퍼질 가능성에 대해선 상업적 해결책이 규제당국의 지원사격 속에 성과를 내면서 글로벌 은행 위기론은 잦아드는 분위기다.

CS 사태의 경우 3가지 측면에서 악화일로로 치다를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문남중 대신증권 글로벌 스트래티지스트는 이날 보고서에서 “SVB, CS로 번지는 전 세계 금융불안은 각국 금융당국이 사태 해결을 위해 신속한 정책대응으로 일관하면서 해결모드로 진입 중”이라며 세 갈래로 진정 포인트를 분석했다.

사태 해결을 위한 신속한 금융당국 대응이 나왔고, 현재 CS의 자본건정성이 위협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점이 부각된다. CS의 보통주자본비율(CET1)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14.1%로 석 달 전보다 1.5%포인트 개선됐고,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도 이달 기준 150%로 지난해 말에 비해 6%포인트 늘어나 아직은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은 크지 않은 상황이라는 진단이다.

더욱이 올해는 전 세계은행산업이 금리 인상의 막바지 구간이라는 금융환경을 맞고 있다. 그는 이같은 전환기에서 “정책금리 인상 중단과 추가 금리 인상 제한으로 자금조달비용 부담이 낮아진 기업들의 유동성 니즈(수요)는 축소될 것”이라며 “은행들의 경우 예금 이탈 완화로 보유증권의 매각 필요가 낮아져 추가 금리 상승 제한으로 평가손실 축소가 은행산업 전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UBS와 CS의 합병 해법은 유럽 은행권과 금융산업 전체로 전이될 가능성을 일단락 짓고, 금융시장 불안을 잠재우며, 증시는 안도를 바탕으로 반등하는 ‘리스크 온(Risk-On)’이 전개될 것이라는 결론으로 수렴한다. 미국·스위스 은행발 위기론이 잦아들면서 위험자산으로 눈을 돌려도 좋다는 ‘파란불’이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이다.

각국 정부와 규제당국에서 위기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속도전에 나서 급한 불을 끄고 있지만 그렇다고 확산 리스크 자체가 사라졌다고 볼 수 없다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안경진 SK증권 애널리스트는 “2008년 금융위기에 견줄 만큼 은행권 위험이 문제 되고 있으나 어느 때보다도 일사불란했다. 대마불사(Too big to fail)이기도 한데다 그 파급효과가 실로 엄청날 것을 과거 사례로 학습한 정책당국은 위험 확산을 막는데 총력을 기울였다”고 짚었다. 이어 “여전히 큰 불로 비화되는 루트를 차단한 것이지 취약한 본질이 해결된 것은 아니다”라며 “앞으로도 지역은행, 가상화폐 관련 은행 등 취약한 고리들에서 문제는 언제든지 계속 튀어나올 수 있다는 생각으로 섣부른 낙관론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