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집값하락에 가계 자산 첫 감소, 고금리에 이자비용은 최대폭 증가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3.12.07 15: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집값이 하락하면서 우리나라 가계의 평균 자산이 사상 처음으로 뒷걸음질 쳤다. 고금리에 평균 부채는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상승률을 보였지만, 이자비용은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해 가계의 부담을 키웠다. 자산 감소에도 부채 증가로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나빠졌다.

통계청이 한국은행·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전국의 2만여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계의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 부채는 9186만원으로 조사되면서 순자산(자산-부채)은 4억3540만원으로 나타났다.

집값 하락에 가계의 평균 자산이 2012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했다. [사진=연합뉴스]
집값 하락에 가계의 평균 자산이 2012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했다. [사진=연합뉴스]

1년 전보다 자산이 3.7%(2045만원) 줄어들고 부채는 0.2%(17만원) 늘어나면서 가구당 순자산은 4.5%(2062만원) 감소했다.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가계 자산은 처음으로 감소했고, 부채는 최저 상승률을 보였다. 순자산이 마이너스 증감률을 기록한 것은 2013년(-0.2%) 이후 10년 만이다.

가계금융 부문에서 자산 감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동산시장 빙하기 속 집값 하락에 큰 영향을 받았다. 자산은 금융자산 23.9%(1억2587만원)와 실물자산 76.1%(4억140만원)로 구성됐는데, 금융자산은 3.8% 늘어난 반면 실물자산은 5.9% 줄어들었다. 실물자산은 부동산이 대부분(71%)을 차지하며, 그중 비중이 44%가량인 거주주택 자산이 10% 감소하면서 실물자산 가치 하락이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가구 부채는 고금리 여파로 올해 3월까지 증가세가 주춤했던 영향으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전체 가구 빚 중 4분의 3 정도를 차지하는 금융부채(6694만원)는 1.6% 감소했다. 주택가격 하락과 대출금리 인상 영향으로 담보대출(-2.6%)·신용대출(-0.7%)·카드대출(-10.6%) 등이 전체적으로 줄어들면서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빚을 내 부동산·주식 투자에 나서기보다는 대출부터 갚은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부채 보유가구비율은 55.7%로 전년 대비 1.5%포인트(p) 감소했다.

반면 임대보증금(2492만원)은 5.3% 증가했다. 1인가구 증가 속에 집값 하락 기대감이 커지면서 전·월세 선호현상이 짙어지고 거래량도 확대됨에 따라 증가세가 이어졌다.

가구당 순자산은 자산 축소에 따라 2000만원대 감소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나빠졌다.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0.7%p 오른 17.4%를 나타냈다. 다만 저축액은 늘고 금융 빚은 줄어들면서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75.7%로 3.9%p 떨어졌다.

정부는 자산·순자산 감소는 부동산시장 정상화에 따른 현상으로 해석했다. 기획재정부는 “실물자산 추이는 이전 부동산 가격 폭등시 빠르게 증가한 이후 주택가격 하향 안정화 전환에 따라 감소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 시한인 3월 말 기준으로 부동산가격이 2021년 17.5%, 2022년 10.9% 오르는 동안 실물자산은 각각 14.5%, 9.5% 증가했는데, 올해는 부동산가격이 13.5% 내리면서 실물자산도 6% 가까이 줄어든 것이다. 다만 올해 초만 해도 급매물만 소진되는 거래절벽이 이어지다가 지난 3월 이후 집값이 다소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체감하는 가계금융 상황과 시차도 존재한다”는 기재부 설명이 따르는 이유다.

가구당 평균 자산 현황 [그래픽=연합뉴스]
가구당 평균 자산 현황 [그래픽=연합뉴스]

가계소득 부문에서는 세금·보험료 등 비소비지출 증가율이 소득 오름 폭을 상회했다.

평균 소득은 6726만원으로 4.5% 늘어났다. 근로소득(4390만원)이 6.4% 늘면서 소득 증가를 이끌었다. 사업소득(1206만원)은 4.0% 늘고, 재산소득(436만원)과 사적이전소득(106만원)은 각각 2.5%, 2.7% 증가했다. 반면 공적이전소득(625만원)은 4.8% 감소했다.

가구 소득 분포는 1000만~3000만원 미만이 21.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000만원 미만은 5.2%, 1억원 이상 가구는 20.0%로 나타났다.

비소비지출은 1280만원으로 8.1% 증가, 소득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공적연금·사회보험(433만원)과 세금(416만원)이 각각 8.2%, 4.1% 늘었다. 특히 이자비용(247만원)으로 18.3% 급증했는데, 이는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증가율이다. 이자비용이 전체 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3%으로 1.7%p나 확대됐다.

가계의 원리금 상환액은 1259만원으로 평균 100만원 늘어났다. 금융부채 보유가구 인식 조사 결과, 67.6%의 가구가 원리금 상환이 생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담스럽다'고 답했는데, 이는 전년보다 견줘 3.2%p나 오른 수준이다. 7.2%의 가구는 지난 1년 중 원금상환 또는 이자 납부기일을 넘긴 적이 있다고 답했는데, 그 이유는 소득감소(29.1), 이자 또는 원금 상환부담 상승(24.6%) 순으로 많았다. 아예 '가계부채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5.5%로 전년보다 0.8%p 늘었다.

처분가능소득은 5482만원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했다. 이를 기준으로 한 주요 소득분배지표는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니계수는 0.324로 전년 대비 0.005 감소했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소득 분배가 평등하다는 것을 뜻한다. 상위 20%의 소득 평균값을 하위 20% 소득 평균값으로 나눈 소득 5분위배율은 5.76배로 1년 새 0.07배p 감소했다. 다만 두 지표의 개선과 달리 중위소득 50% 이하 인구 비중을 나타내는 ‘상대적 빈곤율’은 1년 전보다 0.1%p 증가(악화)한 14.9%로 집계됐다.

정부정책에 따른 분배 개선효과(2021년→2022년 기준)는 지니계수(0.076→0.072), 5분위배율(5.69배p→5.23배p), 상대적빈곤율(6.3%p→5.3%p) 모두 다소 하락했다. 기재부는 “부동산시장 연착륙 지원과 취약계층 금융부담 완화 노력을 지속하는 가운데 민간 중심의 소득·분배 개선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고용·사회안전망 확충 노력을 강화하고, 물가 등 민생안정에도 총력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