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 경기회복 경로에서 밀려나는 중국 변수, 왜?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3.12.15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한국의 경기 회복 경로에서 중국 경제 변수가 밀려나고 있다. 한국은 4분기 들어 13개월 만의 수출 플러스(+) 전환으로 경기 회복의 모멘텀을 다지는 흐름이지만, 최대교역국인 중국의 경기는 뚜렷한 개선세를 보여주지 못하면서다. 

중국 경제가 침체 위기에서 빠르게 벗어난다면 한국 경제의 회복 속도도 그만큼 빨라질 수 있겠지만, 그 기대감은 갈수록 옅어지는 상황이다. 정부의 공식 경기진단서인 그린북에서 중국 경제에 대한 기대는 물론 우려조차 사그라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건설 노동자들 [사진=AP/연합뉴스]
중국 건설 노동자들 [사진=AP/연합뉴스]

기획재정부는 15일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2월호'에서 "반도체 등 제조업 생산·수출의 회복 및 고용 개선 흐름 등으로 경기 회복 조짐이 서서히 나타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8~10월 ‘경기 둔환 완화’로 진단한 뒤 지난달 처음으로 평가한 ‘경기 회복 조짐’이 두 달째 이어진 것이다. 10,11월 연속 증가한 수출 회복세에도 소비 등 내수는 둔화 조짐을 보인다는 점에서 “경제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다소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지만, 전체적으로는 회복 국면 초입에 진입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월 ‘경기 둔화 진입’을 진단한 이후 그린북 종합평가에서는 줄곧 주요 대외 여건으로 ‘중국 리오프닝(오프라인 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기대감’이 언급됐다. 중국 경제가 살아나면서 한중 교역 활성화에 따른 일종의 파급효과를 예상했지만, 리오프닝 효과는 1분기 '반짝 성장'에 제한되더니 지속해서 중국 경기가 내리막을 탔다. 그래서 7,8월 그린북에서는 ‘기대감과 우려가 교차한다’는 표현이 등장했지만, 9월부터는 자취를 감췄다.

그나마 지난 8월 중국 정부가 자국민의 한국행 단체관광 빗장을 풀면서 9월 그린북에선 ‘중국 관광객 증가 기대감’으로 대체됐는데, 소비패턴의 변화로 유커(중국인 단체관광객) 귀환효과가 예상보다 저조하자 그마저도 10,11월 ‘방한 관광객 증가 기대감’으로 바뀌었다. 이달에는 아예 중국과 연관된 대외 변수 언급조차 사라졌다.

더 이상 막연한 ‘중국발 온기’에 기대 경기 회복세를 키울 수는 없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무역전선에서 1년 넘게 뒷걸음질 쳤던 지표들은 거의 증가 전환했지만, 지난달까지 유독 대중국 수출은 18개월 연속 감소세, 대중 무역수지는 14개월 연속 적자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중국 리오프닝 원년이 끝나기 전에 중국이 성장세를 되찾아 이런 대중 무역지표들이 반등할 수 있는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이날 중국 국가통계국(NBS)이 공식 발표한 중국의 11월 산업활동 동향에서도 일부 지표 개선에도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회복세를 받쳐주기에는 미흡한 수준으로 나타나면서다.

지난달 소비지표인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0.1%, 산업생산은 6.5% 각각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로이터통신 조사 시장 전망치인 5.6%를 넘었지만, 소매판매는 예상치 12.5%를 밑돌았다.

소매판매는 지난 5월(12.7%) 이후 두 자릿수 증가이지만, 코로나19 봉쇄정책이 정점에 달했던 1년 전 역성장(-5.9%)에 따른 기저효과가 수치를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7월부터 쏟아진 정부의 소비촉진책 효과로 “경제 안정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신호”(로이터)라는 평가도 나오지만, 예상치를 하회하는 증가율이어서 내수 경기의 턴어라운드 기대감을 제한한다.

중국 소매판매 증감률 추이 [자료=인베스팅닷컴 홈페이지 캡처]
중국 소매판매 증감률 추이 [자료=인베스팅닷컴 홈페이지 캡처]

산업생산은 10월(4.6%)에 비해 증가 폭이 2.0%포인트(p) 확대됐는데,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큰 오름 폭이다. 증가율로는 올해 최고치이지만, 이 역시 지난해 11월 낮은 성장(2.2%)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됐다.

공장과 인프라, 부동산 등 자본투자의 흐름을 나타내는 고정자산투자는 1∼11월 전년 누계비로 2.9% 증가, 전월 수준(1~10월)에 그쳤다. 시장 전망치(3.0%)도 하회했다. 1분기 5.1%에서 2분기 3.8%, 3분기 3.1%에 이어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4분기에 증가 폭이 0.2%p 축소되면서 투자 부진은 소비 위축과 함께 여전히 성장 회복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올해 중국 경기를 가장 크게 옥죄는 부동산 부문의 시장심리를 가늠하는 핵심척도인 1~11월 부동산개발투자도 9.4% 감소, 전월(-9.3%)보다 증가 폭이 떨어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맥쿼리그룹의 래리 후 중국경제 책임자는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11월 중국 경제가 특히 소매판매와 부동산 부문에서 더욱 둔화되는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중국 경제·금융당국이 각종 경기 부양책과 유동성 공급 확대를 통해 내수를 진작하고 부동산 부문의 리스크 전이를 막기 위해 하반기부터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비해 주요 내수지표가 기저효과로도 시장 눈높이를 맞추지 못할 만큼 성장 동력이 떨어져 있어 내년 성장 전망도 어두운 상황이다. 글로벌 부동산자문사 존스랑라살의 브루스 팡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에 "시장은 중국정부의 친성장 정책이 빠르게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정책 전달과 비즈니스 신뢰의 제약으로 인해 아직 단기 성장으로 효과적인 전환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부동산 부문과 민간 투자의 지속적인 약세는 지난달에도 계속되면서 내년에 투자자 신뢰를 강화하고 금융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는 추가 경고가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