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위안화 기축통화 대열에...요는 '신뢰성'

  • Editor. 업다운뉴스
  • 입력 2015.12.01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의 위안화 기축통화 편입 꿈이 이뤄졌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30일 전격적으로 중국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인정하는 조치를 취한데 따른 결과다. IMF가 아직까지도 신뢰성 등에서 다소의 논란을 낳고 있는 위안화를 특별인출권(SDR) 바스켓에 편입시키기로 결정한 것이다.

중국 위안화의 SDR 초기 편입 비율은 10.92%로 결정됐다. 이로써 새로이 구성된 SDR 편입 비율은 미국 달러화 41.73%, 유로화 30.93%, 엔화 8.33%, 영국 파운드화 8.09%로 재편됐다.

결국 위안화 기축통화 편입으로 중국 화폐가 졸지에 세계 3위의 기축통화 지위를 차지하게 된 셈이다.

SDR는 전세계에 달러를 공급하는 미국 등의 기축통화 발행국들이 경상수지 적자 등을 감내하지 못해 달러 공급을 중단할 경우에 대비해 준비해둔 가상의 국제 통화다. 이는 전세계에 대한 기축통화의 공급이 해당국의 경상수지 적자를 통해 이뤄지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따라서 SDR는 IMF 회원국이 국제수지 악화 등으로 외환 위기에 시달릴 경우 담보 없이 빌려 쓸 수 있는 돈이다. 1SDR의 가치는 주요 통화국들의 화폐를 기준으로 산정된다.

이번에 중국 위안화 기축통화 진입은 중국에 대한 정치적 특혜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엊그제까지만 해도 환율조작국 논란에 휩싸여 있던 중국의 위안화를 전격적으로 SDR 바스켓에 편입시킨 것이 아무래도 자연스럽지 못하다는게 그같은 비판의 배경인 듯하다.

위안화 기축통화 진입 뿐 아니라 모든 주요국의 화폐가 기축통화로 결정되는데는 일정한 조건이 있다. 우선 전세계에서 해당 통화로 거래가 이뤄질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유동성을 지녀야 하고 통화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 있어야 한다.

그같은 조건은 미국이나 유로존 국가들, 영국, 일본 등 기존의 기축통화 발행국들의 예를 상기하면 어느 정도 이해될 수 있다.

위안화 기축통화 진입은 해당 국가에 이런 저런 메리트를 안겨주는 측면이 있다. 상징적으로 국가의 위상이 올라가는 것 말고도 중국은 이제 위안화 기축통화 진입으로 경제적 난관에 봉착했을 때 보다 손쉽게 양적완화 정책 등을 쓸 수 있게 됐다.

한국의 경우 금리 인하 또는 양적완화 정책을 함부로 썼다간 곧바로 인플레에 휘말리게 되지만 기축통화 발행국의 경우 그같은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적다.

최근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져들고 있는 마당에 위안화 기축통화 진입이 이뤄지자 일각에서는 중국이 경기 부양을 위한 양적완화 또는 금리인하 정책을 쓸지 모른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양적완화란 기준금리가 제로에 가깝거나, 기타 사정으로 인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기 어려울 경우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시장에 직접 유동성을 공급하는 행위를 말한다.  김민성 기자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