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취업자수 증가세 두달째 주춤...역대 '고용 회복-둔화' 사이클은

  • Editor. 최민기 기자
  • 입력 2022.08.10 16: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최민기 기자] 7월 고용률이 40년 만에 최고치를 찍고 실업률은 23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고용률 관련 지표가 월간 통계 작성 이후 최대수준으로 오르는 등 고물가 속 경기 둔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도 일자리 호황이 지속되는 이례적인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두 달째 둔화되면서 이같은 ‘성장 없는 고용’이 얼마나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47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82만6000명 늘었다. 이는 2000년 7월 103만명이 증가한 이후 22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오름폭이다.

취업자는 지난해 3월 이후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지만 오름폭은 5월 93만5000명에서 6월 84만1000명으로 둔화된 데 이어 두 달째 줄어들었다. 올해 1, 2월 100만명 이상을 기록한 취업자 증가폭은 3월 83만1000명으로 줄었다가 4월(86만5000명)과 5월(93만5000명) 소폭 확대됐지만 6, 7월 다시 둔화 국면을 맞고 있는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기저효과가 사라진 3월 이후에도 80만명대 월간 증가폭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일단 방역 빗장 해제 이후 일상 회복으로 경제활동이 정상화된 데 따른 고용 호조로 볼 수 있다.

10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구인정보가 게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10일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구인정보가 게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전체 고용률은 62.9%를 기록, 1년 전보다 1.6%포인트(p) 올랐다. 1982년 7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7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1년 전보다 2.0%p 오른 69.1%로 나타났다. 역시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89년 이후 7월 기준으로 최고 수준이다.

7월 실업자는 83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4000명(9.1%) 감소했다.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실업률은 2.9%로 1년 전보다 0.3%p 떨어졌다. 실업률은 1999년 이후 7월 기준으로 23년 만에 최저치다.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1594만7000명으로 57만5000명(3.5%) 줄어들면서 17개월 연속 내림세를 유지했다.

전년 동월 대비 17만6000명(4.1%)이나 늘어나며 2015년 11월 이후 최대 증가폭을 보인 제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등 고용 호조세는 이어졌지만 취업자 증가폭 절반 이상은 여전히 60세 이상 고령층(47만9000명 증가)이라는 점이 고용시장의 한계로 지적된다. 기획재정부는 7월 고용동향 분석에서 “청년층 취업자 수(9만2000명 증가)는 증가세가 지속됐지만 증가폭은 축소됐다”며 “60대 이상 취업자가 전체 취업자 증가 중 58%를 차지하는 등 고령층 위주의 고용 증가 등은 여전히 한계”라고 진단했다.

이같은 고용 호조가 얼마나 더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로 돌아간 6%대의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인플레이션 상방압력을 높이고 있고, 정부도 6, 7월 연속 그린북(경기진단)에서 물가 상승세의 확대와 향후 수출회복세 제약 등으로 ‘경기 둔화’ 우려를 제기할 정도로 경제 성장에 비상등이 켜졌기 때문이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 격랑 속에 올해 1·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각각 0.6%, 0.7%(속보치) 성장해 상반기 성장률이 1년 전보다 2.9% 늘어난 수준으로 선방했지만 하반기 전망은 내수, 수출 등에서 제약이 많이 따를 것으로 보여 비관적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5월 올해 GDP 상장률을 2.7%로 낮춘데 이어 지난 6월 2.6%로 하향 조정한 정부는 연간 성장률이 2%대 중반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근 주요 국제 전망기관들도 한국 경제성장률 눈높이를 낮추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0%에서 2.7%로 하향 조정했고, IMF는 2.5%에서 2.3%까지 낮췄다. IMF의 경우 한국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9%에서 2.1%로 무려 0.8%p나 낮추기도 했다.

이렇듯 저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취업자 수 증가 기울기가 하반기를 시작하면서도 둔화세를 벗어나지 못한 만큼 하반기와 내년 고용 기상도는 밝지 않은 편이다. 고용률은 경기 흐름에 시차를 두고 움직이는 대표적인 경기 후행지표이기 때문에 불안한 경제 상황을 갈수록 반영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독일 등 주요 선진국에서 고물가·저성장에도 완전고용에 가까운 낮은 실업률로 ‘고용이 넘치는 경기침체(jobful recession)’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국은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의 끝자락에 수요 회복에 따른 고용 개선이 견조했던 것만 뚜렷했을 뿐 워낙 내수시장이 작고 수출로 먹고 살아야 하는 경제구조상 이들 선진국처럼 고용 호조를 지속하기에는 분명히 한계가 따른다. 하반기부터 고물가를 잡기 위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1분기 성장을 지탱했던 수출 회복세의 제약, 2분기 성장을 주도했던 민간소비가 위축될 우려가 높아지는 등 고용의 하방 요인이 크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하반기 고용은 기저 영향이 마이너스(-)로 작용하는 가운데 금리인상, 코로나 확산세, 가계·기업 심리 위축 등 하방 요인이 상존한다"고 짚은 뒤 "내년에는 기저효과, 직접 일자리 정상화, 경기 둔화 우려, 인구감소 영향 등에 따른 증가 폭 둔화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간 우리나라는 과거 경제 위기와 그에 준하는 고비점을 넘긴 이후 고용 증가 뒤 추세적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해 왔다.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 자료를 분석해보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떨어뜨린 글로벌 경제 쇼크와 대내적 위기 국면에서 3년 내에 고용의 ‘회복-증가-둔화’ 사이클이 진행됐다.

2차 오일쇼크 때 GDP 성장률이 0.7% 역성장한 1980년에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81만명 증가에 그친 이후 2년 연속 30만명대 증가세를 보이다가 3년차인 1983년 12만6000명 증가로 둔화했다. 이듬해에는 사상 첫 마이너스(-7만6000명)까지 기록했다.

IMF 외환위기가 밀려들어 최악의 GDP 역성장(–5.1%)을 감수해야 했던 1998년엔 역대 최대인 127만6000명의 취업자가 줄어든 이후 35만3000명, 88만2000명 증가가 이어진 뒤 3년차에 44만1000명으로 증가세가 꺾였다. 국내에서 카드대란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2003년(성장률 3.1%)엔 취업자수가 1만명 감소하더니 이듬해 460만명 증가로 급증하고서는 다음해는 14만9000명 증가로 급감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성장률 0.8%)에는 8만7000명의 취업자가 줄어들었고, 2011년 49만4000명까지 오른 증가세가 꺾인 시점은 3년 뒤인 2012년(42만8000명 증가)이었다.

코로나19 쇼크가 확산해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0.7%까지 떨어진 2020년에 21만8000명 감소한 취업자는 지난해 36만9000명 증가로 돌아섰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증가 예상치를 60만명으로, 내년엔 15만명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내외적인 경기 변수가 워낙 복잡한 상황에서 글로벌 경기 침체를 내다보는 국제 기관들의 비관적인 전망처럼 저성장의 골이 깊어질 경우 고용의 내리막길은 더 가팔라질 수 있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