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건설 현장 고령화로 직면한 외국인 노동자 딜레마

  • Editor. 박대연 기자
  • 입력 2024.02.16 16: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박대연 기자] 청년세대의 유입이 줄어들면서 건설 인력 고령화 현상이 짙어지는 가운데 현장에서 대체 투입되는 외국인 노동자들과의 언어·문화적 갈등, 하자 우려 등 문제가 심화하고 있어 건설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이같이 딜레마에 빠진 건설업계와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들을 우후죽순 유입시키기보다는 질적 수준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건설근로자공제회 ‘건설기성 및 건설기능인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건설기능인력에서 ‘60대 이상’ 근로자 비중은 25.7%를 기록하며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균연령 역시 51.5세로 정점을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5.4%, 30대 10.2%, 40대 20.9%, 50대 37.8%, 60대 이상 25.7% 등이다.

그동안 건설 분야는 일은 힘들어도 다른 분야와 비교해 수당이 높아 2000년대 초반까지는 청년들이 짧은 기간에 목돈을 벌기 위해 찾던 업종이었다. 하지만 이른바 ‘3D(더럽고, 힘들고, 위험한)’ 업무 기피, 실외 작업, 잦은 주말출근, 열악한 업무환경 등 근무 여건은 개선되지 않는 데다 코로나19 이후 택배와 배달 등 다른 일거리가 늘어나면서 건설 현장에 뛰어드는 청년 인력은 크게 줄어드는 추세다.

건설 인력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며 대체 투입되는 외국인 노동자들과의 언어·문화적 갈등, 하자 우려 등 다양한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 사진은 한 공사현장에서 건설노동자가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건설 인력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며 대체 투입되는 외국인 노동자들과의 언어·문화적 갈등, 하자 우려 등 다양한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 사진은 한 공사현장에서 건설노동자가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6일 업계에 따르면 건설 현장 인력의 고령화 심화와 작업인원 부족을 메우기 위해 인건비가 저렴한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거 유입되다 보니 지방 현장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일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9월 건설근로자공제회가 내놓은 ‘분기별 퇴직공제 피공제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건설 현장 외국인 근로자 수는 총 11만5051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8% 증가했다. 외국인 근로자 구성비는 같은 기간 14.3%에서 15.2%까지 늘었다.

하지만 현장에서 체감하는 외국인 근로자 비율은 실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불법 체류자 규모가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보다 훨씬 높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하청업체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부분 채용·관리하고, 근로자 상당수를 차지하는 불법 체류자는 통계에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수는 파악하기 힘들 것”이라며 실제로는 외국인 근로자 비중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기능인력의 고령화 추이. [사진=건설근로자공제회 제공]
건설기능인력의 고령화 추이. [사진=건설근로자공제회 제공]

외국인 노동자 비중이 높아지면서 의사소통의 어려움, 안전 의식 차이, 숙련도 부족 등 실제로 현장에서는 크고 작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부실공사에 대한 우려까지 내비쳤다.

지방 건설사에서 일하는 한 50대 근로자는 “현재 근무하는 현장은 내국인 50%, 외국인 50% 정도 되는 것 같다”며 “몇몇 현장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화장실이 멀다는 이유로 인분을 한곳에 모아 벽이나 기둥에 매립시키고, 관리자가 없을 때 보호헬멧을 벗는 등 안전 의식 수준이 정말 말도 안 되는 상황들을 봤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방식으로 시공을 진행해야 하지만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업무를 진행하기 함든 부분이 많고 문화가 다르기에 교육을 진행해도 통제가 안 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싸움이 발생한 적도 있다”며 “이런 문제들이 지속되는 한 부실 공사는 물론 인명 사고까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건설사들도 지속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들을 위해 해당 국가 언어로 통역하며 안전교육을 진행하는 등 안전한 현장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본질적인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실질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건설사와 현장 모두 입을 모으고 있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현재 건설 현장에는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하청업체에서 투입되는 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외국인 노동자가 늘어남에 따라 해당 국가의 언어로 안전교육을 진행하는 등 안전한 현장 만들기에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현장 내에서 교육으로 해결되지 못하는 문화 차이, 인식 등 한계가 존재하는 것은 분명하다”며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위해서 근무여건 개선, 고용지원·인센티브 확대, 교육훈련 제공, 건설현장 기술인력 확보 지원 등 인재 양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우즈베키스탄 국적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은 오른쪽 상단에 자리한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전문 통역사가 내용을 근로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사진=HDC현대산업개발 제공]
우즈베키스탄 국적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은 오른쪽 상단에 자리한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전문 통역사가 내용을 근로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사진=HDC현대산업개발 제공]

현장에서는 청년 인력의 유입을 위해 정부의 정책 지원은 물론 인식 변화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건설 현장에는 전문적인 기술이 필수적인 만큼 기술 교육이 필요하지만, 몇 년 동안 자재 정리와 같은 허드렛일만 시키는 등 텃세를 이기지 못하고 기술을 배우기 전에 떠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젊은 세대들이 일을 배우러 와도 현장에서는 자재 정리나 물건을 나르게 할 뿐 일을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아 떠나는 사람들이 많다”며 “기술을 배우기 위한 폐쇄적인 분위기나 텃세, 인식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고령화는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부에서 전문적인 교육 지원 및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진입 장벽을 낮추고 건설업계에 대한 인식을 변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