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K실리콘 힐즈'부터 국내서 글로벌 비전 확장할 첨단산업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3.03.15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1998년 3월,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 주도 오스틴에 반도체 사업의 명운을 건 투자를 통해 SAS(삼성 오스틴 반도체 사업장)를 준공한다. 삼성의 글로벌 반도체 비전을 확장하는 출발점이 된 이 핵심기지는 미국 ICT산업의 본산 실리콘밸리를 본떠 ‘실리콘 힐즈’로 불리게 됐다.

이제 국내에서도 2024년까지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로 확장된 ‘K-실리콘 힐즈’가 구축된다. 삼성전자가 글로벌 1위로 군림하는 메모리 ‘초격차’를 넘어 파운드리 부문에서도 탑티어 경쟁력을 확장하는 핵심기지가 수도권에 탄생하게 된다.

정부가 경기도 용인을 국가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해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만들고 지방에도 14개 국가산단을 새로 지정해 반도체·미래차·우주 등 첨단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15일 대규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일대. [사진=연합뉴스]
15일 대규모 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일대.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1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각각 첨단산업 육성 전략과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을 발표했다. 첨단산업 육성전략은 초격차 기술력 확보, 혁신인재 양성, 지역 특화형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튼튼한 생태계 구축, 투자하기 좋은 나라 구현, 국익 사수의 통상외교 수행 등인데, 국제사회에서 첨단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총력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국가산업단지는 윤석열 정부의 첫 후보지 지정으로 15개 대상 지역은 역대 정부에서 지정한 산단 중 최대 규모(총 476만㎡)다. 국가산단으로 지정되면 인허가 신속 처리, 기반시설 구축, 세액 공제 등 전방위적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경기권 산단 후보지로 지정된 용인 일대 710만㎡은 기존 반도체 생산단지인 경기 기흥, 화성, 평택, 이천과 연결해 세계 최대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이곳에 삼성전자가 2042년까지 300조원을 투입하는 시스템반도체 생산기지를 중심으로 첨단반도체 제조공장(팹) 5개를 구축하고, 최대 150개 국내외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과 연구기관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이 메가 클러스터가 향후 메모리·파운드리·디자인하우스·팹리스·소부장 등 반도체 전 분야의 밸류체인과 우수 인재가 결합한 '글로벌 반도체 클러스터'의 선도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파운드리 분야에서 대만 TSMC를 추월해 글로벌 1위에 오른다는 목표를 설정한 삼성전자로선 기존 평택과 미국 오스틴, 테일러 신공장(건설중)을 합쳐도 부족한 생산 능력을 확장해 명실공히 글로벌 톱 반도체종합기업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첨단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첨단 산업단지 조성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이날 회의에서 "첨단산업은 핵심 성장엔진이자 안보 전략자산이고 일자리와 민생과도 직결된다"며 "최근 반도체에서 시작된 경제 전쟁터가 배터리, 미래차 등 첨단산업 전체로 확장되고 각국은 첨단산업 제조 시설을 자국 내 유치하고자 대규모 보조금과 세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6년까지 계획 중인 첨단산업 6대 분야(시스템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바이오·미래차·로봇)에 대한 총 550조원 이상의 민간 투자가 신속히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입지, 연구개발, 인력, 세제 지원 등을 빈틈없이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방침에 따라 정부는 기존의 입지 ‘규제’에서 탈피해,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을 지원하는 국가로 산업단지 개발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신규 국가산단은 종전에 비해 사업 준비 기간을 기존 7년에서 5년으로 3분의 1가량 단축하고, 지방자치단체의 그린벨트 해제 권한을 30만㎡에서 100만㎡로 완화해 지원의 속도와 폭을 넓히겠다는 것이다. 

특히 윤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첨단산업을 지방 균형발전의 지렛대로 삼겠다는 방향을 제시했던 대로 첫 산단 지정부터 지방정부 스스로 비교우위 분야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규제를 풀어 손뼉을 치는 ‘동행’ 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존 국가산단이 중앙정부 주도로 입지를 선정하고 개발했다면, 이번에는 지역에서 특화산업과 입지를 제안해 추진되는 이유다.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내용 [그래픽=연합뉴스]
국가첨단산업 육성전략 내용 [그래픽=연합뉴스]

용인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외에 여의도 면적의 11배에 달하는 나머지 14개 국가 첨단산업단지는 △충청권에서 대전(나노·반도체, 우주항공), 천안(미래모빌리티, 반도체), 청주(철도), 홍성(수소·미래차, 2차 전지 등), △호남권에서 광주(미래차 핵심부품), 고흥(우주발사체), 익산(푸드테크), 완주(수소저장·활용 제조업), △영남권에서 창원(방위, 원자력), 대구(미래차·로봇), 안동(바이오의약), 경주(소형모듈원전), 울진(원전 활용 수소), △강원권에서 강릉(천연물 바이오) 등으로 저마다 비교우위의 첨단산업 확장을 꾀하고 있다. 

산단 후보지 인근은 도심융합특구, 국가첨단전략산업·소부장특화단지, 스마트혁신지구 등으로 지정되는데, 인근의 산업 거점과 연계해 기술개발에서 실증, 제조·생산, 유통까지 맞물려돌아가되는 확장·연계 생태계를 구축하는 차원이다.

대통령실은 이번 확장된 산단 후보지 발표에 대해 “주요국들이 앞다퉈 자국 첨단산업 제조시설 투자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공세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글로벌 반도체 패권을 잡기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만큼 ‘반도체 지경학’의 중요성이 커지는 시대다. "앞으로 50년은 반도체 팹이 어디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는 미국 인텔의 팻 겔싱어 CEO의 강조처럼 칩 생산기지는 세계화의 퇴조 속에 기술패권을 확보하고 독보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지키는 방패가 된다. 미국이 절대우위의 칩 설계만 유지한 채 일본에 이어 한국·대만에 넘겨준 반도체 생산의 고토 회복을 ‘반도체지원법’을 통해 모색하고, 중국은 ‘반도체 굴기’를 위해 줄기차게 투자를 퍼붓는 무한경쟁 상황이다. 

이처럼 대표적인 미래 먹거리 확보전쟁이 반도체 패권경쟁으로 점화되는 가운데 ‘K-실리콘 힐즈’ 구축 등으로 한국의 특화된 첨단산업이 국내에서 글로벌 비전과 무한성장 역량을 탄탄히 다지는 데는 기업의 투자 의지 못지않게 당국의 지원 ‘속도전’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