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일자리 5분기째 증가에도 청년층만 뒷걸음질, 구직 의지까지 떨어진다면?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3.11.24 1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올해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가 1년 전보다 38만개 늘어났다. 다만 증가 폭은 5분기째 둔화했다. 고령층의 일자리는 전체 증가분의 4분의 3을 차지한 반면 청년 일자리는 전 연령대에서 유일하게 3분기째 뒷걸음질 쳤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올 2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58만4000개로 지난해 동기보다 37만9000개(1.9%)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지난해 1분기(75만2000개) 고점을 찍은 이후 5개 분기 연속 둔화하고 있다. 특히 플러스(+) 폭이 40만개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21년 4분기(37만6000개) 이후 6개 분기 만이다.

'2023 강남구 취업박람회' 구직상담 현장. [사진=연합뉴스]
'2023 강남구 취업박람회' 구직상담 현장. [사진=연합뉴스]

전체 일자리 가운데 지난해 같은 분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443만6000개로 전체의 70.1%를 차지했다.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56만3000개(17.3%), 기업체 생성·사업 확장에 따른 신규 일자리는 258만6000개(12.6%)로 각각 집계됐다. 반면 기업체 소멸·사업 축소 등에 따른 소멸 일자리는 220만6000개다.

일자리 분포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양극화다.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늘어난 전체 일자리 10개당 7.6개꼴로 증가한 반면 20대 이하 청년층에선 아예 일자리가 감소했다.

노년층 일자리는 1년 전보다 29만개 늘어 연령층 중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지난해 2분기부터 30만개 안팎 증가세를 이어오는 고령층 일자리다. 보건·사회복지(7만6000개), 제조업(4만7000개), 사업·임대(3만1000개) 등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50대(9만7000개), 30대(5만6000개), 40대(3000개) 순으로 일자리가 늘었다.

유일하게 20대 이하 일자리만 6만8000개 줄었다. 지난해 4분기(-3만6000개), 올 1분기(-6만1000개)에 이어 3개 분기 연속 감소세인데, 내림 폭은 갈수록 확대됐다.

인구구조 변화와 청년 비중이 절대적으로 큰 아르바이트를 포괄한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증가 폭이 둔화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20대 이하는 도소매(-2만4000개), 공공행정(-1만4000개), 사업·임대(-1만2000개) 등에서 감소했다. 지난해 2분기부터 일자리가 줄어든 연령층도 20대 이하 청년층뿐이다.

올해 경기 둔화기에 접어들어도 고용만은 호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청년-노령 고용은 일자리나 취업자 수 지표에서 모두 뚜렷하게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취업자는 말 그대로 근로하는 사람 개념이라면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말한다. 한 사람이 투잡을 뛰면 일자리가 2개이지만, 취업자는 1명이 되는 것이다.

일자리 증감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일자리 증감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청년층과 고령층의 취업자 수 증감 추이도 유사하다. 통계청의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76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4만6000명(1.2%) 늘어나 3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그 증가 폭 중 97%(33만6000명)를 60세 이상 고령층이 도맡은 반면 20대 청년층은 7만6000명 감소했다. 15~29세 취업자는 8만2000명 줄어들었다. 20대는 물론 15세부터로 늘린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나란히 12개월 연속 감소 곡선을 그렸다.

저출생·고령화 영향으로 청년 인구가 줄어들면서 청년층 고용 상황은 쉽게 개선되지 않고 있지만, 청년들이 노동시장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깊어지는 것도 문제다. 

올해 들어 경제활동이나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가 15~29세 청년층에서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청년층 인구의 약 4.9%가 쉬었음 인구로 집계됐는데, 지난해 39만명에서 지난 9월말 기준 41만4000명으로 다시 늘어난 것이다. 

쉬었음 기간이 길어지게 되면 향후 고용 가능성은 더 떨어지고 취업하더라도 고용의 질이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당국의 청년 일자리 정책은 노동시장 사각지대로 넓혀지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5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을 통해 “청년 쉬었음 인구는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다 올해 들어 다시 증가하고 있다”며 “9900억원을 투입해 재학·재직·구직 등 단계별 맞춤형 지원 정책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청년층의 고립·은둔화를 방지해 구직 의지와 경제활동 의욕을 끌어올리겠다는 맞춤형 정책이지만, 예산과 대상에서 지원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어야 장기적인 경제성장에 마중물로 작용하는 정책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