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1인당 국민소득 1년만에 반등...저성장·고환율 지속된다면?

  • Editor. 최민기 기자
  • 입력 2024.03.05 15: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최민기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3000달러대로 회복했다. 달러 기준으로 2022년 원화가치 하락으로 7% 이상 줄어든 지 1년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20년 만에 역전을 허용했던 대만도 다시 추월했지만, 7년째 3만달러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 나라 국민 전체가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이 국민소득은 원화 기준 4400만원을 처음 돌파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3년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미국 달러화 기준으로 전년(3만2661달러) 대비 2.6% 증가한 3만3745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1년 만에 반등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1년 만에 반등했다. [사진=연합뉴스]

1인당 GNI는 명목 물가를 반영한 성장률인 명목 국내총생산(GDP)에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합친 명목 GNI를 인구(통계청 추계)로 나눠 원·달러 환율을 반영해 산출한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번 소득은 빼고 우리 국민이 나라밖에서 벌어들인 돈을 더한다.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정부가 번 돈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단순한 1인당 개인 소득이 아니라 한 나라 국민의 평균적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다.

달러화로 환산되기 때문에 1인당 GNI는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라 등락이 엇갈린다. 환율이 떨어지면, 즉 원화가 강세이면 달러로 환산한 1인당 GNI는 늘어나는 반면 환율이 오르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2017년 3만1734달러로 3만달러 시대를 연 뒤 7년째 박스권에 갇혀 있는 것도 환율 영향이 적지 않다.

3만달러 진입 이후 1인당 GNI는 연속 하락한 2019년(-4.0%), 2020년(-0.6%)과 14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한 2022년(-7.4%) 등 세 차례 뒷걸음쳤다. 이 기간 환율은 각각 전년 대비 6.0%, 1.2%, 12.9% 올랐다. 환율이 두 자릿수 급등한 2022년의 경우 원화 절하에 따른 GNI 감소분은 4207달러로 추산됐다.

반면 1인당 GNI가 연속 증가한 2017년(8.0%), 2018년(5.8%)과 역대 연간 최대치인 3만5523달러까지 치솟은 2021년(11.0%)엔 환율이 각각 2.6%, 2.6%, 3.0% 내렸다. 다만 지난해엔 원·달러 평균 환율이 1305.4원으로 전년(1292.0원) 대비 1.0% 오르고도 1인당 GNI가 상승한 게 종전과 다른 패턴이다.

원화 기준으로 지난해 1인당 GNI는 4405만1000원으로 1년 전(4249만원)에 비해 3.7% 증가, 2021년(4065만원)부터 4000만원대를 유지했다. 외환위기 때인 1998년(-2.3%) 이후 원화 기준으로 한 해도 빠짐없이 증가세를 이어온 것을 보면 환율이 국민소득 증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달러 기준으로 역대 최대 폭 감소를 기록한 1998년(-33.6%)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11.2%), 2009년(-10.4%) 등을 포함해 7차례나 국민소득 하락 사례가 나왔다.

상대적인 환율 효과는 주력품목 반도체를 앞세워 수출 주도형 경제가 한국과 비슷한 대만과의 비교에서도 잘 드러난다. 2022년 국제 비교를 위한 유엔 기준으로 한국의 1인당 GNI는 3만2780달러에 그쳐 대만(3만3624달러)에 20년 만에 추월당했다. 하지만 대만 통계청이 지난달 29일 공개한 지난해 대만 1인당 GNI는 3만3299달러로 이날 한은의 잠정 집계치에 446달러 못 미쳐 1년 만에 다시 한국에 밀렸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국민소득 설명회에서 "지난해 대만의 명목 GNI는 3.9% 증가해 우리나라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대만 환율이 4.5% 상승해 우리나라 환율 상승 폭(1.0%)보다 약세 폭이 컸다"고 평가했다. 2022년의 대만 환율 오름 폭(6.8%)이 한국의 절반 수준이었던 반면 지난해엔 한국 환율 상승 폭이 대만 4분의 1수준으로 떨어진 것이 양국의 국민소득 역전·재역전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최 부장은 "유엔(UN) 통계상 2022년 우리나라 1인당 GNI는 세계 40위,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에선 세계 7위를 기록했다“며 ”작년 순위는 다른 나라 국민소득 통계가 모두 공표된 이후에나 가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역대급 경기 하강기를 맞은 지난해 가까스로 2년 연속 국민소득 감소는 피했지만, 문제는 4만달러 도약 시기가 점점 늦춰질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현 정부는 임기 내 4만달성 달성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1인당 GNI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시기에 다다른 3만5000달러대 고점은커녕 3만달러 시대 2년차인 2018년(3만3564달러) 수준으로 되돌아간 상태다.

1인당 국민소득 증감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1인당 국민소득 증감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한국의 1인당 GNI는 1994년 1만달러, 2006년 2만달러, 2017년 3만달러를 각각 돌파했는데, 경제성장률과 견줘 3만달러 시대의 정체가 두드러진다. 1만달러, 2만달러 시기에는 평균 실질 GDP 성장률(각 6.14%,3.63%)보다 평균 1인당 국민소득 신장률이 각각 8.07%, 4.33%로 높았다. 하지만 3만달러 시기 7년 동안 평균 1인당 GNI 증가율(2.17%)은 평균 경제성장률(2.27%)에 못 미친다.

세계에서 유례가 드문 가계부채 증가와 저출산·고령화 등으로 성장 동력이 지속해서 떨어져 잠재성장률(지난해 기준 2% 수준)을 밑도는 장기 저성장이 고착화될 경우 선진국 내의 국민소득 업그레이드는 기약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날 한은이 잠정치로 발표한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은 속보치와 같은 1.4%로 팬데믹 첫해인 2020년(-0.7%)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저성장이 재확인됐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눠 그 격차로 전반적 물가 수준을 볼 수 있는 ‘종합물가지수’인 GDP디플레이터는 2.1% 상승했다.

1년 전 국민소득 발표 때 한은 측은 향후 2~3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2% 내외, GDP디플레이터가 물가안정 목표수준인 2% 안팎으로 나오고 원·달러 환율이 10년간 평균치(1145원)을 가정할 경우 ‘멀지 않은 시기’에 4만달러 달성이 가능하다는 신중한 전망을 내놨는데, 상황은 녹록지 않다.

한은의 올해,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각각 2.1%, 2.3%로 저성장 초입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팬데믹 이후 뉴노멀이 된 달러화 강세로 원·달러 환율은 1300원대에 머물고 있다. 내수 부진으로 경기 회복이 지체되는 가운데 가계부채 문제도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우려를 키운다. 국제금융협회(IIF)가 3일 집계한 지난해 4분기 기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에서 한국은 목표선인 80%를 크게 웃도는 100.1%로 세계 평균(61.5%)보다 높아 33개 조사대상국 중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