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경제개방 이전으로 되돌아간 중국 저성장, 올해 회복 전망은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3.01.17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전년 대비 3.0%에 그쳤다. 정부의 연간 목표치(5.5% 내외)를 역대 최대 폭으로 밑돌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대륙에서는 발 붙이지 못하도록 하겠다며 ‘방역 만리장성’을 쌓다가 1978년 부도옹의 집권자 덩샤오핑이 개혁·개방시대를 열기 이전으로 회귀해 저성장의 늪에 빠진 것이다.

다만 지난해 4분기 성장세가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아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에 따른 후유증을 빠르게 해소해나가고 코로나19 확산세가 제대로 꺾일 경우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세계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17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은 이날 2022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블룸버그통신과 세계은행(WB)의 예상치 2.7%를 웃돌았지만, 지난해 3월 공산당 정치행사인 ‘양회’에 보고된 '5.5% 내외'의 연간 목표치에는 크게 못 미쳤다.

경제회복을 위해 내수 확대가 관건이라고 보는 중국 정부가 소비 촉진을 독려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선전시 가전제품 판매 매장. [사진=중국 신랑망 캡처/연합뉴스]
경제회복을 위해 내수 확대가 관건이라고 보는 중국 정부가 소비 촉진을 독려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선전시 가전제품 판매 매장. [사진=중국 신랑망 캡처/연합뉴스]

실질 GDP 성장률 목표 달성에 실패한 것은 목표치를 공표하기 시작한 1994년 이후 두 번째다. 아시아 외환위기 여파가 컸던 1998년엔 목표치(8.0%)를 0.2%포인트 하회하는 수준으로 처음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지만, 지난해엔 목표보다 거의 절반 수준으로 급락하는 최악의 저성장이 현실화됐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원년으로 유일하게 목표치를 내놓지 않았던 2020년(2.2%)보다는 높지만, 문화대혁명(1966∼1976) 끝자락인 1976년(-1.6%) 이후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코로나19 이전 중국의 성장률은 2012년부터 4년 동안 7%대, 2016년부터 4년 간은 6%대를 유지했다. 제로 코로나의 빗장 효과로 2020년 세계 주요국 가운데 유일하게 플러스(+)를 기록하며 선방한 뒤 이듬해 그 기저효과로 8.4%까지 반등했지만 지난해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방역 빗장이 정책 한계점을 맞으면서 경제의 발목을 잡는 부메랑이 됐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은 2.9%로 집계됐는데, 로이터의 예상치(1.8%)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 1분기에 4.8%로 출발했지만 경제수도 상하이 봉쇄가 장기화된 2분기에 0.4%로 급락했다. 3분기에 3.9%로 회복했지만 4분기에 코로나 재확산으로 3%선을 지키지 못했다.

그래도 4분기 성장세가 예상치를 크게 상회한 것은 중국이 본격적인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가는 징검다리라는 점에선 국제금융시장의 올해 중국경제 회복 기대감에 비교적 부합하는 성적표로 분석된다.

'방역 만리'에 옥죄였던 중국 인민들의 반정 시위가 재촉한 ‘위드 코로나’ 정책 도입이 중국 경제엔 승부수가 됐다. 지난해 12월 7일 중국 정부는 10대 방역 완화책을 내놓으며 코로나19 확산과 경제 회복을 위한 일상의 자유를 맞바꿨다. 코로나19 확진자, 사망자 수를 놓고 중국 당국의 축소 발표 의혹이 지속되는 가운데 폭증하는 확산세에 따른 의료시스템 붕괴 등의 혼란이 큰 상황이지만 세계를 위협할 만한 새 바이러스가 출현하지 않은 덕에 일상회복으로 가는 과도기를 위태롭게 통과하고 있다.

당분간 후유증이 클 수밖에 없지만 경제 활력을 되살려야 흉흉한 코로나발 민심도 안정될 수 있기에 중국의 위드 코로나 기조는 경기 부양책 확대와 함께 대륙의 경제 회복에 바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3년 가까이 쌓았던 방역 둑을 일시에 터뜨리면서 감염자 폭증으로 단기적으로는 성장이 다소 정체될 수 있지만, 글로벌 수요 위축에 맞서 내수진작을 위한 부양책으로 정면 돌파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수출과 내수를 병행하는 ‘쌍순환’을 시진핑 집권 3기의 경제 방향으로 설정한 만큼 코로나 팬데믹 끝자락에 밀어닥친 수출 위기를 내수로 극복하겠다는 세계경제 ‘빅2’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실질 GDP 성장률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중국의 실질 GDP 성장률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이 중국의 올해 성장 전망치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는 이유다. 블룸버그(4.8%), IMF(국제통화기금,4.6%), WB(4.3%)가 4%대 성장을 예상한 가운데 모건스탠리는 강한 조기 회복세를 내다보며 종전 5.0%에서 5.4%로 올렸고, USB은행도 4.4%에서 4.9%로 높였다. UBS의 왕타오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리서치 노트에서 "우리는 경제활동과 소비가 3~4월부터 강하게 반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시장의 컨센선스(전망치)가 4.3~5.6%로 그 폭은 크지만 지난해 낮았던 성장 레벨을 반영한 기저효과에다 리오프닝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면 5% 안팎의 성장 회복은 무난할 것이라는 예상으로 수렴되는 흐름이다.

로이터는 지난해 12월 의제 설정 회의에서 중국 최고 지도자들이 2023년에 17조달러로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집중하고 주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 조정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러면서 “정책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실업률을 억제하기 위해 올해 최소 5%의 경제 성장을 목표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로이터가 조사한 이코노미스트 49명의 올해 전망치는 4.9%다.

다만 중앙·지방정부의 정책 미스매치가 우려된다. 중국 중앙은행은 올해 꾸준히 금융 규제를 완화해 더 많은 유동성을 공급하고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출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지방 정부는 인프라 프로젝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더 많은 부채를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최근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에서 벗어나 일상 회복을 지속해야 한다”며 “중국의 일상 회복이 올해 세계 경제 성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예전에 글로벌 경제 성장에 35~40% 기여했지만 지난해 성적은 "실망스러웠다"고 평가한 뒤 “올해 중반부터는 다시 세계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미국의 기여가 멈춘 상황에서 ‘세계의 공장’ 중국이 버텨준 덕에 지구촌이 감당할 고통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는 점을 상기한 것으로 읽힌다. 그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2.7%에서 더 하향 조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은 것도 이런 중국의 역할론에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